본문 바로가기
ordinary day

베트남 이민 , 해외근무 주재원 생활 준비사항, 베트남 한달살기

by 사이공스페샬 2020. 2. 28.
반응형

 

베트남 한달살기

 

 

안녕하세요

사이공파파예요

 

오늘은 베트남 이민, 해외 파견근무, 주재원 준비 사항을 알아볼게요 

 

흔히들 사람들은 베트남하면 후진국이라 기피하고,

큰 돈 없이도 풍족하게 살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

 

 

저 또한 나오기 전까지 그랬고요.

또 후진국이라 베트남 생활에 지레 겁 먹고 해외근무 이민를 두려워 하기도 해요

 

근데, 그거 아시나요?

베트남이 해외 거주하는 한국 이민자가 가장 많은 나라라는거

크게,

아래의 4가지 내용을 미리 준비한다면 실패없는 해외 생활 준비가 될 것으로 생각하고

혹은 장기 계획으로 나오실 예정이라면 미리 한달살기처럼 경험을 해보시고 필요한게 무엇일지 준비하는것은

정말 큰 도움이 될 거예요

 

1. 물가

2. 생활비(체류비)

3. 언어

4. 교육

 

 

 

1. 물가

: 베트남은 한국보다는 물가가 저렴한 편입니다

 

물론, 로컬 물가 기준이고요, 한국인이 운영하는 식당,배달음식 등을 이용할때는

거의 한국 물가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

로컬 식당/물품을 애용한다면 정말 저렴하게 살 수 있어요

2. 생활비(체류비)

: 가장 큰 생활비는 단연 아파트 렌탈비용이 되겠죠

(가족 구성원의 수에 따라 원룸~ 3룸이상의 아파트까지 고려해야 합니다​)

 

*싱글의 경우 : 원룸에 살 생각이면 저렴하게는 $250-$400 사이로 구할 수 있습니다

​*가족이 있는 경우(24평이하/2룸) : $650-$800 사이로 많이들 구하는 것 같고요

​*가족이 있는경우 (30평이상/3룸이상) : $900~$1,400 이내로 구합니다

 

아파트 관리비는 규모와 퀄리티에 따라 다르지만

30평대는 100만동~150만동 사이로 내는것 같아요.

전기세는 동남아다보니까 연중 에어컨을 사용해서 꽤 나옵니다.

많이 나오는 집은 한달 300만동(15만원)까지도 내더라구요

 

물세는 한국보다 월등히 싼것 같습니다

제 경우 3인가족 매일 아침저녁 샤워하고 펑펑 사용해도 30만동 정도 나오는 것 같아요

​(다행이도 난방비는 들지 않으니까 안심하세요)

 

교통비는 아무래도 주로 택시/그랩을 이용하셔야 하는데요.

거리에 따라 책정되므로 설명하기 애매하지만 1군 시내 - 7군 푸미흥까지

대략 15만동 정도 나오고 1군 시내 - 2군 안푸 까지 10만동 이내입니다

 

통신비용은 보통 선불 충전폰을 사용하는데요

주로 모비폰/비엣텔에서 등록해서 번호받아서 사용합니다

 

3. 언어 :

해외에서 생활하려면 최소한 그 나라 언어는 기본으로 어느정도 구사할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해요

유창하게는 아니더라도, 택시 타고내리고 물건 가격 지불 및 셀줄 알아야하고, 숫자 정도는 익혀야겠죠

그래야 적응하고 살 수 있습니다(물론, 푸미흥에서는 베트남 어 하나도 할줄 몰라도 살 수 있긴 합니다)

 

4. 교육 :

자녀가 없다면 해당사항이 없지만, 자녀가 있다면 심각하게 고려해야할 사안입니다.

한국에서는 무상교육에 어린이집도 모두 무료지만, 이 곳은 모든게 돈 입니다

특히, 한국학교를 보내지 않고, 외국 국제 학교를 보낼 계획이라면 어마어마한 돈이 든다는 것은 알고 오셔야해요.

 

 

그리고 베트남 내 국제학교(미국,영국,싱가폴,호주) 등등은 일년 학비가 후덜덜합니다

1년 학비가 20,000불 이상입니다

 

회사 지원이 없다면, 심각하게 고민해봐야 할 부분입니다.

또한 부모가 모두 베트남에 나와서 사는것이 아니고 기러기 부부라면 자녀는

한국 학교에 입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국제 학교를 보내야만 합니다

 

 

또 한국학교의 T/O 가 넉넉하지 않아, 부부가 함께 나왔다고 하더라도 T/O 부족으로

국제 학교에 보내야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.

즉, 돈 벌러 왔다가 자녀 학비로 몰 빵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 

 

물론 내 소중한 자녀 국제 학교 보내서 영어 잘하고 좋은 환경에서 자라면 좋겠지만,

본인의 능력 내에서 해결이 되는지 알 필요가 있어요

또 국제학교는 입학이 8월부터 입니다 한국과 입학일이 다르기때문에 이 부분도 잘 알고 오셔야 합니다.

 

이런 일련의 정보와 현지 문화를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급하게 짐 싸서 올 것이 아니라,

한달살기라도 해보고 어떻게 살아야 할지 감을 잡아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 꼭 알아야 할 것 입니다

 

해외 생활, 특히 동남아에서 편하게 황제 이민 생각하고 왔다가는 전세값 빼서 온 돈 다 쓰고

돌아가지 못 할 수도 있으니 잘 알아 보시고 좋은 결정 하시길 바래요

 

반응형